한국에서 많이 읽힌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는 카이사르를 다루는 데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인물이라고는 하나 그 찬양의 정도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런 것을 보면서 우리는 시오노 나나미의 책이 어떤 관점에서 쓰인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역사 책을 읽으며 승리자의 편에 서서 자신이 그들과 한 편인양 즐거워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우리처럼 식민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는 나라의 사람들이 『갈리아 원정기』를 읽으면서 카이사르의 편을 들며 즐거워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태라 하기 어렵습니다. 억압받고 고통받는 피지배 민족들에게 안쓰러운 마음을 가져야 정상이지 식민지를 착취했던 제국의 반성 없는 후손처럼 굴면 곤란하겠습니다.p.160 『역사 고전 강의』
세나투스(원로원)와 포풀루스(시민/하층민)의 투쟁은, 토지 문제와 그것에 근거한 재산권이 근본적으로 개혁되는 사회혁명으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이 '내전의 세기'는 포풀루스의 불만을 흡수해서 자신의 세력을 키운 일인자의 시대로 귀결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사회혁명이 아니라 정치권 내부의 권력투쟁이 전개된 것입니다. 어떤 사회에서나 계층 간의 갈등이 극단적으로 일어나는 시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갈등이 근본적인 사회 개혁으로 이어져 사회의 저변을 바꾸지 못하고 몇몇 지도자들 아래 대중이 몰려들어 그들의 세력을 키워 주고 그것이 유력한 지도자들 사이의 정치적 권력투쟁으로 이어지면, 수많은 대중들은 결국 사회의 주체가 아니라 장기판의 졸과 같은 존재가 되고 맙니다.p.155 『역사 고전 강의』
"미천하고... 걸어갔다"라는 문장은 이때 벌어진 사태를 탁월하게 집약하고 있습니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부유한 자들은" 기존의 삶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마련했지만, "미천하고 교육을 받지 못했으며 가난에 찌든 다수의 사람들은" 온갖 고통과 어려움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연명하며 살았습니다. 미천하고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일수록 나라가 망하면 고생길에 접어듭니다. 그러니 좋은 집안에 태어나 부유한 사람들이 나라를 버리고 떠나든 말든 가난하고 미천한 사람들은 나라를 지키고 올바르게 만드는데 힘을 쏟아야 하는지도 모릅니다.p.142 『역사 고전 강의』
인문학적 태도와 인문학의 위기인문학적 태도는 현존의 것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하여 확고하고도 불변의 진리를 찾고자 한다. 의심은 모든 학문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태도이다. '도대체 왜 저럴까'라는 궁금증이 없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이렇게 본다면 모든 학생은 인문학적 태도를 기본적으로 가져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누군가를 인문학적 소양이 부족하다고 비난할 때 이는 그가 의심하는 힘, 진리를 추구하고자 하는 열정이 부족하다는 말이지 철학이나 역사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 모자라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사실 인문학자라는 이들도 이 점을 분명히 하고 있지 못하다. 가령 많은 인문학자들이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을 되풀이해서 이야기 하곤 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을 들여다보면 철학이나 역사 분야에..
"글을 읽되 글 읽기를 즐겨하지 않는 사람은 게으르고 소홀하며 중단하는 일이 많아서 성취하지 못한다. 글 읽기를 즐겨하는 사람은 또 많이 읽으려고 탐하고 널리 읽으려고 힘써서 자주 그 실마리도 잡지 못한 채 갑자기 그 끝을 찾으려 하며, 이것을 깨닫지도 못했는데 문득 저쪽에 뜻을 두는 것을 면치 못한다. 이런 까닭에 비록 종일토록 부지런히 노력하도고 쉬지 못하며, 마음이 급하고 항상 분주하게 쫓기는 것 같아서 침착하게 푹 잠기는 즐거움이 없다. 이런 사람들은 스스로 터득한 것을 깊이 신뢰하고 오래도록 싫증을 내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게으르고 소홀하며 중단하는 일이 많은 사람과 다를 것이 없다. 공자가 '빨리 이르려고 하면 이르지 못한다.'라고 한 것이나, 맹자가 나아가는 것이 빠르면 물러나는 것도 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