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는 가격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그 상품을 더 선호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소비자들이 비싼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쉽게 말해, 사람들이 비싼 상품을 사는 이유는 그 제품이 실제로 더 좋기 때문이 아니라, 그 제품이 비싸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나는 이만큼 경제적 여유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몇 가지 사례를 통해 베블런 효과를 더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1. 명품 패션 브랜드루이비통, 구찌, 프라다 같은 명품 브랜드의 제품들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브랜드의 가방이나 옷은 기능적으로 저렴한 제품과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높은 가격과 브랜드 이미지를 보고 구매합니다. ..
과거의 노예들과의 유일한 차이점은 과거의 노예들이 공공연히 노예로 간주된 반면 현대의 노동자는 노예라는 사실이 감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노동자는 겉보기에 자유스럽다. 왜냐하면 노동자는 한꺼번에 영속적으로 팔려가는 것이 아니라 하루, 일주일 또는 일 년 단위로 팔리기 때문이며, 더욱이 어떠한 소유자도 노동자를 다른 사람에게 팔지 않으며 대신 노동자가 스스로를 팔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과잉 인구가 존재하는 실제적인 이유는 노동자들 간의 경쟁에 있다.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생활필수품을 박탈당하고 더 이상 살아가기가 불가능한 상황에 어쩔 수 없이 빠져버릴 때 이것도 사회의 살인 행위이다. ... 이러한 사회의 살인 행위는 숨겨진 사악한 살인이며, 누구도 그 살인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는 형태..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강연 녹취록 입니다. 웹 검색을 하다 참 좋은 글이라 문방 분들도 한번쯤 읽어 보셨으면 하고 가져 왔습니다. 그 분도 어디서 가져 온 것인데 허락해 주셔서 허성도 교수님의 허락을 받진 않았지만 꼭 한번 읽어보셨으면 하는 마음에 글 올립니다. 글이 길이가 있지만 꼭 한번 읽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강연 녹취록 사단법인 한국엔지니어클럽 일 시: 2010년 6월 17일 (목) 오전 7시 30분 장 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1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2층 국화룸 저는 지난 6월 10일 오후 5시 1분에 컴퓨터를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우리 나로호가 성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여기에 계신 어르신들도 크셨겠지만 저도 엄청나..